라벨이 자연 환경인 게시물 표시

[자연 환경] 육식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이미지
육식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3대 영양소라 불리는 단백질 보충에는 육류만 한 것이 없다. 하지만 훗날 우리가 좋아하는 육류를 먹지 못할 수도 있다. 콩 고기, 인공육이 괜히 세상 밖으로 나오는 게 아니며 고기의 대체를 찾고 있는 중이다. 육식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위에 표를 보면 우리나라의 고기 육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육식을 많이 하게 되면 성인병 위험, 영양 불균형 등 위험이 있다. 육식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많은 사람이 알고 있으므로 이 포스팅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룰 것이다. 식량 위기 쌀 1kg을 얻기 위해서 물 3000리터가 필요한 반면 소고기 1kg을 얻기 위해서 곡물 8kg과 물 15,000 리터가 필요하다. 이처럼 소는 엄청난 자원을 먹고 있다. 만약 10명의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옥수수를 소를 키우는데 사용한다면 단 1명만 소고기를 먹고 9명은 굶어야 한다. 하지만 식량 위기라는 표현은 농산물, 육류, 어류를 다 합친 총 생산량이 부족 하다는 것이 아닌 곡물이 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람에게 남겨지는 곡물이 부족하다는 것을 말한다. 목축을 위한 숲 파괴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는 건강한 숲에는 다양한 식물들이 살 것이다. 하지만 목축을 하는 입장에서는 가축이 먹을 수 있는 식물들의 양이 상대 적으로 적다고 판단한다. 이것에 대한 해결 방안이 숲에 불을 지른 후 빈 공간에 사료를 재배 한다. 이러면 가축들이 먹을 수 있는 식물이 많아진다. 하지만 몇 년을 걸쳐 사료, 농약을 사용하면 땅은 영양분이 사라지고 목축 업자들은 또 다른 숲으로 가서 반복을 한다. 현재도 가축을 키우기 위해서 1시간마다 축구장 128개의 달하는 숲을 태우고 있다. 곡물사료를 먹는 가축의 문제점 원래 소는 풀을 먹는다. 하지만 사료 값 절감을 위해서 옥수수, 콩 등 대량 생산한 곡물 사료를 먹인다. 여기서 문제점이 발생...

[자연 환경] 도도새의 멸종

이미지
도도새의 멸종 인간의 욕심으로 도도새는 멸종되었다. 한번 알아보자. 도도새 인도양에 있는 모리셔스 섬에 도도새는 살고 있었다. 도도새는 섬에 천적이 없어 새 임에도 불구하고 날개가 퇴화되어 날지 못하고 덩치는 커지며 진화했다. 그림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2790&cid=40942&categoryId=32604 도도새의 멸종 대항해 시대 1505년 포르투칼인들이 모리셔스 섬에 도착 했다. 날지 못하는 도도새는 포르투칼인들에게 좋은 먹이가 되어 무분별하게 포획되었다. 또 한 배에 있던 원숭이, 쥐가 섬안에 들어오게 되면서 도도새 새끼와 알을 잡아먹었다. 결국 100년 후에 멸망했다. 도도새 복원 2023년 초 도도새를 복원 연구한다는 기사들이 나왔다. 복원을 하는 이유가 기술력 발전, 명예로서 가치가 있지만 과연 생태계에 필요한 일 인가에 대해 생각 해 봐야 한다. 출처 :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080379.html

[자연 환경] 농약의 장단점 농약이 환경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이미지
농약의 장단점 농약이 환경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21세기에 농약은 없어서는 안되지만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현재 사용하는 농약을 대체 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이 있어야 한다. 농약 이란? 농약이란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약이다.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약을 사용하는 것처럼 농식물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농약이 필요하다. 농약의 장점 - 작물 수확량 증진 - 농산물 해충 방제 - 인류의 보건 증진과 식량 증신에 크게 이바지 함 농약의 단점 - 환경 오염 - 농약에 내성이 생긴 해충 출현 - 생태계 파괴 - 익충 피해 아래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다룸 농약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농약을 사용할 때 해충만 선택 적으로 죽이기는 어렵다. 때문에 이로운 익충 까지도 모두 죽게 된다. 농약 사용 후 빈 통을 버리지 않고 강물에 버려 수생생물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또 한 비가 내리면 농약을 과다 사용한 토지에서 빗물을 타고 하천 까지 유입되어 영향을 끼친다.  농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농약을 친 농산물은 결국 사람이 섭취하게 된다. 요즘 농약은 분해 속도가 빨라 장기간 남는 경우가 별로 없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농약에 중독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농약의 미래 요즘 자연에서 추출한 물질을 농약 대용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생겼다. 예를 들어 마요네즈, 식용유 등 식자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확실하게 독성이 없다고 장담 할 수 없으며 살충효과를 장담하지 못한다.  과거 20세기 농약은 살충제를 뿌렸다가 새들이 다 죽는 사례가 있을 정도로 엄청난 독성이 있었다. 현재는 독성이 많이 줄었다고 해도 수천, 수만개가 되는 농약의 안전성은 검증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