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visual studio 기능인 게시물 표시

[Git] Visual Studio에서 commit, push 하기

이미지
Visual Studio 2022 에서 commit, push 하기 visua studio에서 push, commit, pull 같은 간단하지만 많이 사용하는 명령을 사용 할 수 있다.  개발 시 형상 관리를 개발 툴(visual studio, vs code, eclipse)에서 한다. 개발 툴에서 사용 안되는 명령어는 git에서 사용한다. 게시글은 visual studio 2022 버전 이지만 2019, 2017 버전 다 비슷한 UI라 하나만 제대로 형상 관리 할 줄 알면 된다. 코드 추가하기 1. 로컬 저장소 생성 및 1차 커밋만 한 상태다. 2. 내용을 적어준다. commit 하기 visual 맨 아래에 연필 같은 그림에 숫자가 뜬다. (숫자는 커밋 하기 전 코드가 얼마나 추가 되었는지 나타낸다.) 연필 그림을 클릭한다. visual 오른쪽에 다음 같이 나온다. 변경 내용에 코딩을 한 cpp, h 파일이 있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이제 커밋을 해보자. 설명을 적어 준 후 모두 커밋 을 클릭하면 commit 완료. push 하기  ↑ 아이콘을 클릭 하면 푸시가 된다. push 확인 해 보기 github 사이트에 들어가 정상적으로 push 가 된 걸 확인.

[Git] Visual Studio에서 로컬 저장소 만들기

이미지
Visual Studio2022에서 로컬 저장소( 리포지토리 ) 만들기. 순서 1.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만들기 1. Git Hub에서 원격 저장소 만들기 2. Visual Studio에서 로컬 저장소 만들기 + 원격 저장소 연결 및 Push 원격 저장소에 올릴 프로젝트 하나 만들어 주자. 1. C:\GitExample 경로에 프로젝트를 만들고 cpp, h 파일을 만들어 줬다. 원격 저장소 만들어 보자. 2. 프로필 -> Your repositories 클릭. 3. New 클릭. 4.  Repository name 작성 ->  Description   (optional) 작성 -> Create repository 클릭. 5. 원격 저장소 생성이 된 걸 확인. 로컬 저장소를 만들고 원격 저장소에 연결 및 push하자. 6. git -> git 리포지토리 만들기 클릭. 7. 기존 원격 클릭 -> 로컬 저장소 경로 선택(프로젝트 폴더) 8. GitHub 사이트에 가서 원격 저장소 주소를 복사한다. 9. 원격 URL을 붙여 넣어준다. 10. Git Hub 사이트에서 새로고침 -> 정상 Push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1. Visual Sutdio 하단에 아이콘들이 나온다. 12. 프로젝트 폴더에 Git 관련 파일들이 생성 되었다.

[Visual Studio] 호출 스택 보는법

이미지
 visual studio 호출 스택 보는 방법 디버그 > 창 > 호출 스택 왼쪽 아래 호출 스택 창이 뜬다. 호출 스택은 디버깅 중 많이 사용 된다. 오류가 발생했을 때 가장 최근 호출 스택으로 이동하여 버그를 찾아 낼 수 있다.

[Visual Studio] Visual Studio 2022 외부 라이브러리 추가

이미지
Visual Studio 2022에서 C/ C++  헤더파일, lib,  dll  추가 하는 방법 총정리 sqlite3.h, sqlite3.lib, sqlite3.dll 추가를 예제로 했다. 다 테스트 해보면서 작성 한 거니 자세히 읽어 보기 바란다. 아래 사진은 프로젝트를 만들면 생성되는 초기 폴더다. 우선 헤더 파일, lib, dll을 폴더 안에 넣어보자. 제일 처음 프로젝트를 만들 때 생성되는 폴더를 연다. 여기서 솔루션(.sln)이랑 이름 같은 폴더를 들어간다.(그림 처럼 SQLite_Example.sln(솔루션)과 같은 SQLite_Example 폴더에 들어간다.) dll 파일을(sqlite3.dll) 넣어 준다. 이제 헤더 파일, lib파일을 추가해 주자. dll을 넣은 폴더에서 Sqlite3 폴더 생성 후 들어간다.(아무이름 하면 됨) Sqlite3 폴더에 sqlite3.h, sqlite3.lib를 넣어준다. 이러면 dll, h, lib 파일을 솔루션 폴더에 넣었다.  이제는 visaul studio에서 설정을 해줘야 한다. 시작 전에 사람들이 헷갈려 하는 부분을 정리 하자면 1. 헤더 파일 , lib 는 아무 폴더에 있어도 visual sutdio가 읽어 올 수 있다. 2. dll 은 두 가지 추가 방법이 있다. 1) 경로 설정해주기 이 방법은 dll이 솔루션 폴더 안에 없으면 visual sutdio가 읽어오지 못해 오류가 발생한다. 2) 경로 설정 + 환경변수 추가 해주기 환경변수를 추가 해 줌으로써 dll이 솔루션 폴더 안에 없더라도 visual studio가 읽어올 수 있다. 이 방법을 많이 쓴다. 아래에 dll 추가에서 2가지 방법을 작성했다. 3.dll을 못 읽어오는 이유는 대부분 dll  파일을 잘못된 폴더에 넣었기 때문이다.  dll 과 lib, 헤더파일의 위치를 다르게 한 이유는 예시를 위해서다.  1. 헤더파일 추가 방법 프로그램 작성하면서...

[Visual Studio] 코드 수정하며 디버깅 하기

이미지
Visual Studio에서 코드 수정하면서 디버깅 할 수 있는 방법 포스팅.  Control + Shift + F5를 활용하면 된다. 아래 소스를 예시 #include<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subtract(int a, int b) { int c = a - b; return c; } void main() { int a = 1; int b = 2; int c = subtract(a, b); cout << "a - b = " << c; } - 우선 디버깅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수정하는 방식을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1. 뺄셈 함수를 통해 '-1' 이 나오게 하고 싶은데 '3'이 나온다. 2. subtract() 함수가 잘 못되었으니 5번 라인에 중단점을 건 후 실행 시킨다. 3. 디버깅 하다 보니 5번 라인의 '-' 대신 '+'가 들어가 '-1' 이 아닌 '3'이 나왔다. 4. '-' 로 수정해주고 재시작 하면 올바른 답 -1 이 나온다. 코드가 짧으면 위에 방법처럼 (오류 발견 -> 수정 -> 프로그램 종료 -> 재시작 -> 확인) 순서로 해도 된다.  하지만 어떤 소스는 실행만 3분씩 걸리는 프로그램도 있다. 하나씩 수정 할 때마다  재시작을 한다면 작업시간이 몇 배로 늘어난다. 아래 방법을 통해 이런 불상사를 방지 할 수 있다. - 디버깅 하는 중에도 코드 수정하기 1. 마찬가지로 5번 라인에 중단점을 찍은 후 실행 시킨다. 2. 버그를 발견 했다. '+'를 '-' 로 바꿔준 다음 ctrl + shift + F5를 눌러준다. 3. 프로그램이 종료 되지 않고 수정 된 내용을 적용 시킬 수 있다. F10을 내려서 확인하면 값이 바뀐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4. F5 눌러서 쭉 실행 해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