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Studio] 중단점 사용법
Visual Studio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중단점 사용방법
1. 중단점(Break point) 이란?
프로그램 실행 전 원하는 라인에 중단점을 미리 찍어 둔다.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다 중단점을 만나게 되면 실행이 정지된다.
그 후 변수의 값이나 로직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디버깅을 할 수 있는 기능이다.
2. 중단점 찍는 법
우선 아래 그림 처럼 선언을 해준다.
9번 라인 (c = a + b;) 아무대나 좌클릭 후 F9를 눌러주면
왼쪽 끝에 빨간점이 생긴다.
저것이 중단점이다.
F9를 한번더 누르면 사라진다.
3. 중단점 찍고 변수 값 확인하기.
c의 값이 어떻게 변하는 지 확인 해보자.
중단점 2개를 찍어준 후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준다.
중단점을 만나면 프로그램이 정지되며 빨간점 위에 화살표 모양이 생긴다. 현재 9번 라인에 중단점이 걸렸다는 뜻.
여기서 주의 할 점은 a + b = 3 이지만 맨 아래 로컬 값을 보면 현재 c의 값은 0이다.
그 이유는 아직 9번 줄은 실행 된 것이 아니므로 7번 라인에서 c = 0으로 초기화 한 그대로 값이다.
이제 여기서 F5를 눌러주면 멈췄던 프로그램이 재개 된다.
프로그램이 재개 되었지만 10번 라인에도 중단점이 있으므로 다시 정지가 된다.
이때 9번 라인은 실행이 됐으므로 아래 로컬에서 c의 값이 3으로 변한 걸 확인 할 수 있다.
이제 10번 라인의 c의 값을 확인 해야한다.
여기서 F5를 누르면 프로그램이 종료 되므로 10번 라인의 C의 값을 확인 할 수 없다. 이 때는 F10 이나 F11 둘 중 하나를 눌러야 한다.
* F5 : 한 줄이 아닌 중단점이 없으면 끝까지 쭉 실행 시킨다.
* F10 : 한 줄씩 이동을 한다.
* F11 : 함수가 있으면 함수 안으로 들어간다.
(F10, F11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볼려면 아래 링크.)
여기서는 F10을 눌러 한 줄만 실행 시킨다.
10번 라인이 실행 됐으므로 로컬에서 c - a = 2 값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시 F5를 누른다.
댓글
댓글 쓰기